안녕하세요!
싸이먼입니다.
어제의 포스팅을 통해 구글 애드센스 승인 거절 메일이 도착했다는 소식을 공유했었습니다.
10분 정도 속이 쓰렸지만, 바로 회복하여 오늘 다시 또 포스팅을 할 수 있는 기력을 되찾았습니다!

왜인지 모르겠지만, 실패를 겪어보니 오기가 생겨 점점 더 포스팅에 적극적이 되어가는 저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제정신을 차리고 다시 나아갈 준비를 마친 저입니다.
심기일전
(心機一轉)
구글 애드센스 심사의 단점은 승인 실패의 구체적인 원인을 제공하지는 않다는 점이며
장점은 언제든지, 얼마든지 자유롭게 재신청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첫 번째 심사보다는 더 발전을 한 상태에서 두 번째 심사를 넣으면 되겠습니다.
주관적으로 본 승인 실패 원인은 무엇인가?
1. 포스팅 개수가 3개일 때 심사를 신청했다.
2. 영어 교육 콘텐츠가 그렇게 특별하지 않다.
3. NEEDS ATTEATION이라는 승인 상태 문구로 미루어 보아, 구글 정책을 위반한 포스팅이 있다.
실패 원인들을 선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1. 포스팅 개수가 3개일 때 심사를 신청했다.
제가 티스토리를 개설했던 시점은 8월 초였고, 티스토리를 개설하고 포스트를 3개 정도 작성했을 즈음에 심사를 바로 신청했습니다. 당시, 애드센스로 수익을 창출한다 -> 이 한 가지 부분만 바라보았지, 심사 기준이 빡빡하기로 유명한 애드고시에 대한 아무런 정보도 상식도 전무했습니다. 따라서 실패는 너무나 당연한 결과였습니다. 포스트 개수와 퀄리티. 두 중요점을 어느 궤도에 올려놓고 진행을 했었어야 하는데, 목적성도 확립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을 했습니다.
2. 영어 교육 콘텐츠가 그렇게 특별하지 않다.
영어 교육 콘텐츠는 너무나 흔하고 중복되는 내용도 많습니다. 물론 제가 잘 아는 정보를 공유하는 차원이기에 저는 무난한 콘텐츠라고 생각했지만, 이 콘텐츠만으로 블로그 정체성을 확립하기엔 어렵다는 생각입니다. 조금 더 나를 담아도 되지 않을까. 블로그 곳곳에 나를 묻혀도 괜찮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3. NEEDS ATTEATION이라는 승인 상태 문구로 미루어 보아, 구글 정책을 위반한 포스팅이 있다.
구글 정책에 위반하지 않았는지 사전 확인하지 않았습니다. 저는 포스트를 업로드하고 개수를 채우는 데에만 급급했지, 포스트 하나하나가 구글 정책을 잘 따랐는지는 꼼꼼하게 확인하지 않았습니다.
이쯤에서 한번 더 살펴보는 구글 정책 규정.
1. 광고 배치:
- 팝업, 이메일 또는 소프트웨어와 같은 곳에 광고를 배치해서는 안 됩니다.
- 광고 클릭을 우발적으로 유도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광고는 주변 콘텐츠와 명확하게 구분되어야 합니다.
- 화려한 화살표나 애니메이션으로 불필요한 주의를 끌면 안 됩니다.
- 광고를 "광고"나 "스폰서 링크"와 같이 명확하게 레이블해야 합니다.
- 광고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클릭되도록 하고, "자원"이나 "도움말 링크"와 같이 혼동을 줄 수 있는 레이블은 사용하면 안 됩니다.
2. 광고 동작:
- Google 광고와 관련된 스팸 활동은 금지됩니다.
- 광고로 가득 찬 웹사이트를 의도적으로 생성하거나 방문자가 광고를 클릭하도록 강요하는 행위는 정책 위반입니다.
- 광고 클릭을 유도하는 구문을 사용하거나 방문자에게 광고 클릭을 장려하는 행위는 금지됩니다.
3. 광고 이미지 연관:
- 광고와 관련 없는 이미지와 분리되어야 합니다.
- 콘텐츠는 페이지의 윗부분에 표시되어야 하며, 광고로 인해 콘텐츠가 화면 아래로 밀려나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광고와 비슷한 스타일의 링크, 콘텐츠 기능 또는 이미지를 포맷팅 해서는 안 됩니다.
4. 광고 수정:
- 광고 배치와 동작을 수정할 수 있지만 광고주에게 해가 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AdSense 코드를 수정하는 허용되는 방법에는 반응형 디자인, A/B 테스트, 광고 태그 최소화, 사용자 지정 채널 동적 설정이 있습니다.
- Google은 방문자의 IP 주소를 사용하여 광고 클릭 시 새 창에서 광고가 열리는지 여부를 조정합니다. 이 기능을 수정하거나 변경하면 계정이 제거될 수 있습니다.
5. 쿠키 정책:
- 방문자의 브라우저에 Google 및 제삼자 쿠키를 배치하고 인터넷 사용을 추적할 수 있음을 인정해야 합니다.
- Google이 고객 데이터를 처리할 때 준수하는 개인정보 처리 방침은 Google 광고 개인정보 처리 정책 섹션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6. 개인정보 정책:
- Google에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송해서는 안 됩니다.
- 쿠키 및 개인정보 정책을 방문자와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표시해야 합니다.
- Google이 DoubleClick 쿠키를 사용하여 광고를 더 잘 타기팅 하고 방문자에게 제공함을 설명해야 합니다.
- 관심 기반 광고를 비활성화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해야 합니다.
7. 쿠키 정책:
당신은 방문자의 브라우저에 Google 및 제3자 쿠키를 배치하고 인터넷 사용을 추적할 수 있음을 인정해야 합니다. Google이 고객 데이터를 처리할 때 준수하는 개인정보 처리 정책은 Google 사이트의 광고 개인정보 처리 정책 섹션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 외에 수집된 데이터는 당신의 관리 하에 있으며, Google도 광고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당신은 Google이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를 Google에 전달해서는 안 됩니다. 그들은 당신으로부터 개인 데이터를 받고자 하지 않으며, 사용하지 않고자 합니다. 그 정보를 자체로 보관하세요.
8. 개인정보 정책:
Google에 식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 것 외에도, 당신은 방문자와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쿠키 및 개인정보 정책을 밝혀야 합니다. 당신의 사이트의 개인정보 정책은 쿠키를 사용하여 방문자를 추적하는 다양한 제3자(예: Google)와 Google이 DoubleClick 쿠키를 사용하여 광고를 더 잘 타깃팅하고 방문자에게 제공함을 포함해야 합니다. 또한 광고 설정을 통해 관심 기반 광고에서 탈퇴할 수 있는 옵션을 포함해야 합니다.
또한 방문자에게 적절한 제3자 공급업체와 광고 및 쿠키 설정에 대한 링크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aboutads.info에 링크를 제공하고 이 웹사이트를 사용하여 제3자 관심 기반 광고 프로그램에서 탈퇴할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설명해야 합니다.
당신은 또한 Google이 고객 정보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설명 링크를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미지같은 경우에도, 혹여나 저작권 문제가 있을까 싶어서 가급적이면 저의 수작업 일러스트를 사용하고 포토샵 자체제작 썸네일을 사용했었습니다.저작권 문제는 걸리지 않았을 거라 생각하는데.. 그것이 아니라면 다른 구글 정책을 살펴보아도 정확히 어느 부분을 위반했는지 뚜렷하게 알 수는 없네요. 아마 컨텐츠의 빈약함이 가장 클 것이라 생각하지만, 가장 기본적인 글의 맞춤법, 구성, 카테고리 정리, 광고 배치 등등 부터 다시 재설정하려 합니다.
글을 작성하는 지금 시점에서 곰곰히 이전 작업을 되새김질 하다가 떠올랐는데요,
실은 구글 콘솔 SEO INDEXING 작업에서 크롤링 문제가 몇차례 있었습니다.
그것 또한 거절 사유일 수 있겠군요.
포스트 제목과 Alt 속성을 명확히 하고,
집중 키워드가 글에서 자연스럽게 묻어나는 글을 작성하는 게 좋다는 외국 블로그의 글을 보았습니다.
(광고나 키워드 노출 등 뭐든지 과하게 시선을 잡으려는 시도는 안 하는게 좋다는 의미)
구글 애드센스 승인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서 찾아본 내용 중
WebPagetest와 YSlow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사이트 속도나 모니터링을 최적화하는 게 좋다는 내용도 있더라구요.
뻔한 내용이지만, 기본 선에서 할 수 있는 장치는 최대한 적극 활용해볼 요량입니다.
현재로선 도구적으로도 애드센스 승인을 수월하게 하는 방법이 있는지 자료를 찾아보는 중입니다.
재심사를 언제 올릴지 그 타이밍을 재고 있는데요,
방법이 있다면 다음 포스팅에도 추가적으로 업로드 하겠습니다!
'02.Money Pipeline > Google Adsen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 구글 애드센스 승인 거절 메일이 도착했습니다. 승인 거절 메일 분석하기. (1) | 2023.08.24 |
---|---|
01. 티스토리 광고 플랫폼 종류 알아보기. (3) | 2023.08.19 |
00. GOOGLE AdSense 승인을 위한 공부 시작하기. (1) | 2023.08.11 |